Liquidity premium
Additional interest paid by borrowers who issue illiquid securities to obtain long-term funds;
the interest premium compensates lenders who acquire a security that cannot be resold easily or quickly at par value.
이자율 기간구조를 설명하는 이론 중의 하나로, 모든 투자자들이 기본적으로 유동성을 선호하여 만기가 긴 채권일수록 장기간 투자하는 대가로 미래 기대단기이자율 외에 추가적인 프리미엄을 요구한다는 이론이다. 일반적으로 단기채권은 장기채권에 비해 위험이 작으며 동시에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성이 높은 것이 보통이다. 이에 비해 장기채권일수록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위험부담이 커지게 된다.따라서 장기채권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은 만기가 길수록 증가하는 위험부담과 감소하는 유동성에 대한 프리미엄을 요구하게 된다. 이처럼 기대이론에 유동성프리미엄을 추가하여 상환기간에 따라 수익률에도 차이가 있다고 설명하는 이론을 유동성 프리미엄이론이라 하며, 이는 기대이론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채권의 보유기간 예상수익률은 장기채권일수록 프리미엄만큼 더 높게 되어 이 이론에 의한 수익률곡선은 기대이론에 의한 수익률곡선보다 항상 유동성프리미엄만큼 상위에 있게 된다. 또한 투자자들이 단기이자율이 약간 하락하거나 또는 일정할 것으로 예상한다 하더라도 수익률곡선은 유동성프리미엄의 영향으로 우상향의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